2009년 6월 25일 목요일

폐문

중국에서 구글블로그를 차단했습니다.

제법 됐습니다.

돌아돌아 한참만에 들어왔습니다.

블로그를 닫고, 다시 기존의 웹사이트

www.forgogh.net 로 돌아갑니다.

2009년 5월 14일 목요일

앞강도 야위는 이 그리움

고재종


그토록 흐르고도 흐를 것이 있어서 강은
우리에게 늘 면면한 희망으로 흐르던가.
삶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는 듯
굽이굽이 굽이치다 끊기다
다시 온몸을 세차게 뒤틀던 강은 거기
아침 햇살에 샛노란 숭어가 튀어오르게도
했었지. 무언가 다 놓쳐버리고
문득 황황해하듯 홀로 강둑에 선 오늘,
꼭 가뭄 때문만도 아니게 강은 자꾸 야위고
저기 하상을 가득 채운 갈대숲의
갈대잎은 시퍼렇게 치솟아오르며
무어라 무어라고 마구 소리친다. 그러니까
우리 정녕 강길을 따라 거닐며
그 윤기나는 머리칼 치렁치렁 날리던
날들은 기어이, 기어이는 오지 않아서
강물에 뱉은 쓴 약의 시간들은 저기 저렇게
새까만 암죽으로 끓어서 강줄기를 막는
것인가. 우리가 강으로 흐르고
강이 우리에게로 흐르던 그 비밀한 자리에
반짝반짝 부서지던 햇살의 조각들이여,
삶은 강변 미루나무 잎새들의 파닥거림과
저 모래톱에서 씹던 단물 빠진 수수깡 사이의
이제 더는 안 들리는 물새의 노래와도 같더라.
흐르는 강물, 큰물이라도 좀 졌으면
가슴 꽉 막힌 그 무엇을 시원하게
쓸어버리며 흐를 강물이 시방 가르치는 건
소소소 갈대잎 우는 소리 가득한 세월이거니
언뜻 스치는 바람 한자락에도
심금 다잡을 수 없는 다잡을 수 없는 떨림이여!
오늘도 강변에 고추멍석이 널리고
작은 패랭이꽃이 흔들릴 때
그나마 실낱 같은 흰줄기를 뚫으며 흐르는
강물도 저렇게 그리움으로 야위었다는 것인가.



말이 너무 많아서 쓰러질 듯이 지쳤을 때 시 읽는다. 오랜만이다. 오랜만에 읽으니, 전에 안 보이던 것도 보인다. 아마 그 때는 보았는데 지금은 안 보이는 것도 있을 터이다. 생각 없이 꺼낸 시집 안에는 내가 한국을 떠나오던 무렵에 고은이가 썼던 편지가 끼워져 있다. 전에도 몇 번 보았던 것 같은데, 어쩐지 이 시집 사이가 그 편지의 자리인 듯해서 옮겨두지 않았다. 내가 만난 사람들 중에 여전히 가장 위태롭고 단단한 사람쯤 되는 고은이는 아마 그 녀석의 속내를 닮게 될 딸아이와 함께 영국에 산다. 편지 속에서,

"당신도, 나도, 건승합시다. 최소한, 비겁하게, 가고 싶은 길에서 가야할 길에서 도망치지는 않도록 합시다. 재회 때까지 건강하세요."라고 쓰고 있다.

이번 작업이 끝나면, 어디 짧은 여행이라도 다녀와야겠다. 두 바퀴 자전거를 타고.

2009년 5월 13일 수요일

작업은 새벽 다섯 시에 끝났다. 끝난 것도 아니고, 도저히 더 할 수 없어서 그냥 컴퓨터 껐다. 5월에, 새벽 다섯 시도 되기 전에 낡이 밝기 시작한다는 것을 오늘 알았다. 죽은 듯 몇 시간을 자고, 마감 닥친 자전거 여행기 원고를 위해 시내 산책을 다녀 왔다. 이번에는 제법 며칠짜리 하이킹을 생각했었는데, 도저히 시간을 낼 수 없었다.

못 다 끝낸 잡지 편집을 도와주고, 밀린 사진 작업들을 해서 보내고, 일정 잡힌 촬영 몇 개를 끝내려면 우선 다음 주 수요일까지는 틈이 없겠다.

이번 일들이 끝나면, 정말로 내 원고 퇴고를 서둘러야겠다고, 새 다짐을 한다. 서둘러야 할 이유가, 열 개쯤은 족히 된다. 제발, 그 때까지는 버텨주기를. 곧, 해 낸다.

2009년 5월 9일 토요일

아침에 복단대에 갔다. 잡지 준비하는 친구들 인터뷰가 있었다. 며칠 바빠서 인터뷰 질문도 제대로 정리를 못 한 터라, 붐비는 아침 시간도 피하고 질문지도 정리할 생각으로 일찍 나섰다. 도착해 보니 약속 시간까지는 한 시간이 남았다. 정문 안쪽에 큰 모택동 동상이 만드는 그늘에 앉아 필요한 것들을 정리하며 쉬었다. 조금쯤 졸고 싶기도 했는데 아침 맑은 바람이 자꾸 잠을 깨웠다. 눈감고 있어도 잠들지 못 했다.

모택동 동상이 만드는 그늘은 컸다. 나 말고도 두어 명이 충분한 제 공간을 확보하고 앉아서 신문도 보고 귀도 후비고 사람도 기다렸다. 오늘의 중국이, 모택동의 그늘에서 쉬고 있구나. 생각이 들었다.

2009년 5월 5일 화요일

유학생에 대한 책임. 내가 대학생활을 통해 많이 성장했으니, 그런 기회가 상대적으로 드문 이 곳 유학생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어떤 막연한 책임감 같은 것. 건너 건너 알게된 유학생들이 잡지를 만들겠다고 한다. 그 중에 깨어있다고 스스로 아는 몇몇이 모여서 자신들이 속한 유학생 사회에 어떤 자극을 주고 싶다고 뜻을 모았다. 좋은 뜻으로 뭉쳤으니 잘 하라고 그저 마음만 보태며 있었는데, 얼마 전에 만났을 때 처음으로 걱정이 됐다. 든든하게만 보이던 친구였는데, 지친 모습이 안타까웠고 저러다가 제풀에 쓰러지면 그 좋은 시도가 빛을 보지 못 하고 무너지게 될 테고 그렇게 되면 그런 시도를 했던 팀에게도 아쉬움으로 남겠지만 그것보다 큰 것은 그 시도를 통해 어쩌면 자극을 받고 스스로의 가능성을 알게 될 더 많은 유학생들이 안타까울 것이다. 강건너 불구경이나 하고 뒷방 늙은이처럼 괜히 잔소리나 보태려던 마음을 바꿔서 조금 나서서 돕기로 했다.

발간 일정을 앞둔 잡지라고 하기에는 준비라고 해 둔 것이 없었다. 우선 급한대로 다시 회의를 통해 구성을 잡고 아는 잡지사로 가서 편집에 필요한 디자인툴을 얻어왔다. 아무 것도 아는 것이 없으니 툴에 대한 안내 서적도 거의 빼앗듯이 가져왔다. 잡지의 핵심이 되는 디자인 서식도 얻어 왔다. 선듯 내어준 마음이 고맙다. 팔자에 없는 편집 디자인을 공부하게 생겼다. 모자란 기사를 몇 개 써주기로 하고 기존 원고에 대한 교정 이상의 수정 작업을 해주기로 했다.

학생들이 하는 작업에 끼어드는 것이 못내 못 할 짓을 하는 것 같다. 그 때는 나도 그랬을까? 하는 것마다 서툴러 보이고 온갖 틈만 보인다. 그런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의 나도 만들어졌을 테니까 그들의 지금도 긍정하는 것이 맞겠지만 그러기엔 그들이 잡아둔 일정은 촉박하고 해 놓은 것은 성글다. 급한 마음으로 몰아치고 안 되는 부분은 내가 떠안기로 한다.

마음이 불편하다. 내 부족함을 내가 잘 아는데 그 부족한 모습으로 저 당당한 아이들을 몰아치고 있으니 무엇인가 속이는 기분이고, 회의 끝내고 아이들 돌려보내고 나면 방 안에는 쇳소리만 여운처럼 남고 녹슬어가는 쇳조각 비린내만 난다. 급한 마음에 말이 너무 많아서 미처 생각으로 채우지 못 한 성근 말들이 난무한다. 쫓기는 마음은 저들의 상황을 깊이 헤아리지 못 하고 내 기준에 맞추어서 닥달만 한다. 내가 관여하기 훨씬 전부터 저들끼리 공들여 만든 결과물의 가치를 평가절하하고 자꾸만 그들 기를 죽이는 것 같아서 내 말에도 자신이 없다. 그들 노력의 결과로 탄생한 잡지에 대한 자부심 대신, 부족한 것들만 모여서 어설픈 미완성 밖에 얻어낸 것이 없다는 감상을 갖게 할까 무섭다.

친구들, 선생님 생각이 간절하다. 내 부족함을 바닥까지 깨부수며 범접하기 어려운 높이의 지식으로 강의해주시던 교수님들이 간절하다. 선생님들의 지식에 대한 의심 없이 참 편하게 많은 것을 배웠다. 의심 따위 우습다는 듯, 이미 수 많은 의심에 대한 승전 기록을 보여주시듯 선생님들의 배움은 깊고 단단했다. 그 말본새 하나하나, 그 몸가짐 하나하나는 또 얼마나 멋드러졌던가.
몇 명만 뭉쳐두면 이 정도 잡지쯤은 놀이처럼 해치우고 시원하게 맥주 한 잔 마시러 갈 수 있는 친구들이 간절하다. 그들과 함께 있으면 못 해낼 것이 없어 보였다. 서로가 서로의 능력에 대해 신뢰했고, 자신들의 자리에서 언제나 기대 이상의 결과물을 들고 나타나는 그들의 등장은 참 든든했었다. 함께 모일 때 산술적 합 이상의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기대를 품게 했고, 그들은 한 번도 기대를 배신한 적이 없었다.

며칠의 취재와 며칠의 디자인 기간이 끝나면, 어쨌든 잡지라는 형태가 나올 것이다. 이번 작업이 끝나면 나는 팽.당해야 한다. 내가 팀에 있는 게 이 친구들에게 별로 이로운 일이 아닐 듯하다. 대학생으로 팀을 꾸려 그들의 내부적 성장과 외부에 대한 자극을 의도한 것이니까, 그렇게 가게 해야겠다. 그러니까 이번 한 번에 나는 되도록 많은 것을 보여주어야겠다. 다음 번 작업에는 그들이 더 나은 곳에 닿을 수 있도록 하고, 무엇보다 겨우 나 정도의 수준에 만족하지 말기를 당부해야겠다. 든든하고 아름다웠던, 일당백 친구들의 전설을 전해주어야겠다. 깊은 바다같았던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전해야겠다.

작업을 진행할 수록 내 부족함이 선명하게 보인다. 이번 일 끝나면 입 좀 닫아야겠다. 말 좀 줄이고, 부족한 내 공부나 좀 더 채워야겠다. 지난 3월부터 시작한 에프상하이 사진스터디도 슬슬 끝이 보이니까, 사이트 활동도 좀 줄이고 새로 책공부하는 작은 모임이나 꾸려 보아야겠다. 사회인의 신분으로 학생들 작업에 끼어드는 것이 어색했는데, 생각해 보니 내 마음은 한 번도 학생이 아닌 적이 없었다. 선생님 따라가다가 혼자 길 잃고 우는 학생이다.

2009년 4월 27일 월요일

베이스가 좋아진다. 요요마의 첼로 정도에서 느끼던 호감은 게리 카의 베이스 연주쯤으로 더 내려갔다. 저음은 고음보다 층간 소음이 잘 전해진다. 아파트에서 듣기에는 신경이 쓰이지만, 그래도 밤에 듣는 베이스 음악은 심장에 바로 닿아서 심장박동이 음에 반응한다. 아랫집 윗집에 조금 미안하지만.

악기 하나 배워야겠다는 생각은 예전부터 있었는데, 그건 맘처럼 쉬운 게 아니다.

때가 되어서 악기를 배우게 될 때, 콘트라베이스나 안 되면 더블 베이스라도 배워야겠다. 더블 베이스보다 좀 더 큰게 콘트라베이스인가? 단지 그 차인가? 더 크면 음이 더 낮은가? 뭐 어쨌든, 악기는 정한 셈이다. 활로 켜는 것보다는 손가락으로 튕기는 게 더 나을 듯. 도구를 하나라도 덜 쓰니 다루기에 더 쉽지 않을까?

가족 재즈밴드라도 만들어야지. 근데, 온 가족이 다 베이스를 좋아하면 어쩌지?

2009년 4월 25일 토요일

샤워하다가 불쑥 드는 생각.

사람들은 왜 '그리스인 조르바'에 열광했던 것일까? 아마 이윤기의 번역이었던 듯한데, 번역가 스스로도 자신의 번역에 상당히 만족스러워했고, 읽는 입장에서도 말의 맛을 잘 살렸다는 느낌이었던 듯한데, 번역의 문제를 떠나서, 왜 사람들은 한 명의 그리스인을 그토록 사랑했었을까?

되는대로 막 산 것 같은 인상에, 술 좋아하고 여자 좋아하고 그렇게 나이 든 인물. 아마 그 대충 산 것 같은 삶을 관통하는, 사실은 단단한 어떤 삶의 고집 같은 걸 사랑한 것일까? 성인들이 보여주는 삶이 위대하기는 하나 일반인이 도저히 닿을 수 없는 경지에 있는 것이라면, 조르바의 삶은 나와 동시대를 호흡하고 바로 옆에서 걸어가는 사람이 도달한 어떤 경지였기 때문 아닐까? 뭐 어쩌면 쉽게 닿을 수 있겠다는 친근감이었을까? 작은 일에 감동하고,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에 호기심을 느끼고, 자신에게 솔직하고, 옳지 않은 것에 분노하고, 어떤 계산도 없이 좋아하는 대상을 마음껏 사랑하고, 자신의 가치와 본질을 스스로 잘 알고, 삶 앞에 한 치 주저함도 없이 당당할 수 있었기 때문일까? 성인들의 삶이 모든 유혹을 끊어내고 스스로를 가두는 과정을 통해 완성에 도달한다면, 조르바는 삶 속의 모든 유혹과 화해하면서 마침내 이루어낸 경지에 닿았기 때문일까? 소설에 등장하는 조르바의 죽음은, 성인의 죽음과 별로 달라 보이지 않는다. 침대에서 일어나 힘찬 발걸음으로 창문가로 가서 호탕하게 웃고는 그 자세로 죽었다지 않나. 그 웃음은 마치 '다 이루었노라' 내지는 '한 세상 잘 살았다' 정도가 아니었을까.

사실 이 아침 가장 궁금했던 것은,
도대체 샤워기 밑에 서서 왜 갑자기 조르바가 생각난 것일까?